해피엔딩 집착 증후군
(Happily Ever After Syndrome)
말 그대로
모든 일이 반드시 행복하게 끝나야 한다는
강박적인 믿음이나 기대를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이 증후군은 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삶의 모든 문제나 갈등이
동화처럼 완벽하고 행복한 결말을
맺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현실은 항상 행복할 수만은 없다는 점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해
현실이 자신의 기대와 다르게 흘러갈 때
극심한 좌절감, 실망감, 불안감을 느끼며
부정적인 감정이나 상황에 직면하는
것을 피하고,
오직 긍정적인 면만을 보려 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회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인 관계나 대인 관계에서
갈등이 생기면 이를 해결하기보다
관계를 포기하거나,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이상적인 기대를 하다가
실망하는 경우입니다.
'해피엔딩 집착 증후군' 유래
심리학이나 의학 분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진단명은 아니며,
주로 동화와 대중문화의 영향에서
파생된 표현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Happily Ever After)'라는
동화의 전형적인 결말에서
또는
애니메이션이나 로맨틱 코미디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
'권선징악'과 '완벽한 사랑'이 항상 행복하게
끝나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면서,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현실에서도 이와 같은 결말을 기대하게
되는 경향이 생긴것 같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와 SNS를 통해
끊임없이 이상적인 삶의 모습이 제시되면서,
사람들은 자신의 삶도 완벽하고
행복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압박감이
심리적 나타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해피엔딩 집착 증후군은
동화나 대중매체가 제시하는 비현실적인
'완벽한 행복'에 대한 환상이
현실에 대한 과도한 기대로 이어지면서
발생하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합니다.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 뜻과 유래...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 뜻과 유래...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뜻무드셀라 증후군이란 과거의 좋았던 기억만을 떠올리고 좋지 않았던 기억은 쉽게 잊거나 미화하려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마치, 추억은 항상 아름답다고
content3576.tistory.com
조선의 제갈량, 이항복(李恒福)의 일대기
이항복 (李恒福)(1556년 ~ 1618년)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뛰어난 지략과 위기 대처 능력으로 '조선의 제갈량'이라 불립니다. 그는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탁월한 외교력과 수완을 발
content3576.tistory.com
"요즘 주목받는 효봉스님의 예언서 '역상록'(逆相錄)"...
"요즘 주목받는 효봉스님의 예언서 '역상록'(逆相錄)"...
예언서 '역상록' (逆相錄) 현재 많은 관심 속에 효봉스님의 '역상록'(逆相錄)이 화제이다. 특히 2025년을 전후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미래에 대한 예측을 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역상록'(逆相
content357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