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결 (修心訣)
"마음을 닦는 비결"
수심결(修心訣)은 고려 시대의 고승
보조국사 지눌
(普照國師 知訥, 1158~1210)이
저술한 불교 수행 지침서입니다.
선(禪)
수행의 핵심 내용을 간결하고 명료하게
설명하고 있어
한국 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심결(修心訣)의 주요 내용과 사상은 크게
다음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
지눌 스님의
핵심 사상 중 하나인 돈오점수는
수행자가 문득
깨달음(頓悟)을 얻은 후에도
번뇌를 점진적으로
닦아 나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깨달음이 한순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수행을 통해
번뇌를 소멸시키고 깨달음을
심화시켜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정혜쌍수(定慧雙修) 강조: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선정과 지혜를 균형 있게 수행해야
진정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봅니다.
무심(無心)의 경지:
모든 분별심과 집착을 여읜 무심의 경지를
지향합니다.
이는
인위적인 생각을 벗어나
본래 청정한
마음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상생활 속 수행:
좌선(坐禪)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항상 마음을 살피고 깨어있는
태도로 수행에 임할 것을 권합니다.
수심결(修心訣)의 가치와 영향:
수심결은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불교 수행의 본질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길을 안내해 왔습니다.
특히,고려 시대 이후
한국 불교의 선풍을 진작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 많은 수행자들이 교과서처럼 읽고
따르는 중요한 경전입니다.
"요즘 주목받는 효봉스님의 예언서 '역상록'(逆相錄)"...
"요즘 주목받는 효봉스님의 예언서 '역상록'(逆相錄)"...
예언서 '역상록' (逆相錄) 현재 많은 관심 속에 효봉스님의 '역상록'(逆相錄)이 화제이다. 특히 2025년을 전후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미래에 대한 예측을 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역상록'(逆相
content3576.tistory.com
진시황의 잘못된 해석 "망진자호야(亡秦者胡也)"...
"망진자호야 (亡秦者胡也)" "호가 진나라를 망하게 할 것이다"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은 그 후에도 자신의 죽음과 진나라의 영속성에 대해 깊이 걱정했습니다. 그러던 중, 진시황은, 불로장생을
content3576.tistory.com
단하천연(丹霞天然)에서, 무학대사(無學大師) 까지...
단하천연(丹霞天然)에서, 무학대사(無學大師) 까지...
단하천연(丹霞天然)단하천연 은 (736년 ~ 824년) 중국 당나라 시대의 선승(禪僧)입니다. 출가 이전에는본래 유학(儒學)을 공부했으며, 과거를 보러 가던 중한 선승과의 대화를 통해 불법에귀의하게
content357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