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탁악세 (五濁惡世)
오탁악세(五濁惡世)는 불교 용어로,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
다섯 가지 탁함(번뇌)으로
더럽혀져 있는 악한 시대를 의미합니다.
말 그대로
'다섯 가지 탁함으로
가득 찬 악한 세상'이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다섯 가지 탁함,
즉 오탁(五濁)은
1. 겁탁(劫濁):
시대가 악해지고 혼란해지는 탁함입니다.
질병, 재앙, 전쟁 등이 만연하여
세상 전체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2. 견탁(見濁):
사람들의 사상과 견해가 흐려지는 탁함입니다.
올바른 가치관이나 진리를 깨닫지 못하고,
그릇된 주장이나 편협한 시각이
팽배해지는 것을 뜻합니다.
3. 번뇌탁(煩惱濁):
사람들의 마음속에 탐욕, 성냄, 어리석음 등
온갖 번뇌가 가득 차는 탁함입니다.
이로 인해
마음이 혼란스럽고 고통받는 것입니다.
4. 중생탁(衆生濁):
중생들의 자질과 능력이 저하되는 탁함입니다.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약해지고,
덕을 쌓거나 선행을 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5. 명탁(命濁):
수명이 짧아지고 일찍 죽는 탁함입니다.
질병 등으로 인해 명이 온전하지 못하고
불안정해지는 것을 뜻합니다.
오탁악세(五濁惡世) 의미
오탁악세는 단순히 나쁜 시대라는 것을 넘어,
다음과 같은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
본질적으로 고통스럽고 불완전하다는 것을
오탁악세를 통해 강조하며
끊임없이 생겨나는 번뇌와 재앙 속에서
인간이 겪는 어려움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오탁악세 속에서
깨달음을 얻고 해탈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수행하고 정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비록
세상이 악하고 탁하더라도,
선업을 쌓으면 이러한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합니다.
오탁악세(五濁惡世)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의 현실적인 어려움과 번뇌를
설명하면서도,
그 속에서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야 할
이유와 희망을 동시에 제시하는
중요한 불교 개념입니다.
인자요산 지자요수(仁者樂山 知者樂水) 뜻과 유래...
인자요산 지자요수(仁者樂山 知者樂水) '인자요산 지자요수'는 논어(論語)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한 고사성어입니다. 그 뜻과 유래, 그리고 의미를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
content3576.tistory.com
설죽화 (雪竹花) 고려 '전설 속의 여자 무사'
설죽화(雪竹花)는고려 시대 거란의 침입 때 활약했다고 전해지는전설 속의 여자 무인이다. 정사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설죽화(雪竹花)에 대한 구전 및 야사는 '눈 속에 핀 대나무 꽃'이라는
content3576.tistory.com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 뜻과 유래...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 뜻과 유래...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뜻무드셀라 증후군이란 과거의 좋았던 기억만을 떠올리고 좋지 않았던 기억은 쉽게 잊거나 미화하려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마치, 추억은 항상 아름답다고
content3576.tistory.com